티스토리 뷰

목차


    반응형

     

    문화누리카드
    문화누리카드 & 청년 문화패스

     

    문화생활·여가활동 비용을 아껴주는 대표 제도가 바로 문화누리카드청년 문화패스입니다. 두 제도의 대상·금액·신청처가 서로 다르다 보니 헷갈리기 쉬운데요. 아래에서 한 번에 비교하고, 나에게 맞는 지원을 바로 신청해 보세요.

    한눈에 핵심
    • 문화누리카드: 6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·차상위 대상, 연 14만 원 (문화·국내여행·체육 가맹점)
    • 청년문화예술패스(국가): 올해 19세 청년 대상(2006년생), 10~15만 원 공연·전시 관람 포인트
    • 지자체 청년 문화패스·문화복지카드: 지역별로 연령·금액 상이(예: 서울·부산·전남 등 별도 운영)

    ① 제도 비교표(빠른 선택 가이드)

    구분 주요 대상 지원 금액/형태 사용처 신청·발급
    문화누리카드 6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·차상위 14만 원 충전 문화·국내여행·체육
    가맹점 결제
    주민센터·누리집·앱
    청년문화예술패스(국가) 올해 만 19세(2006년생) 10~15만 원 포인트 NOL/YES24 등 공연·전시 예매 전용 누리집 온라인 신청
    지자체 청년 문화패스 지자체별 청년(예: 18~39세 등) 지역별 상이(예: 5~25만 원+) 지역 공연·전시·체육 등 지자체 포털·재단 공고

    ② 문화누리카드(전국) — 대상·금액·일정·신청

    • 대상: 6세 이상(2019.12.31. 이전 출생자) 기초생활수급자·차상위
    • 지원금: 1인당 연 14만 원
    • 발급기간: 2025.02.03 ~ 2025.11.28 (사용은 12.31까지)
    • 신청방법: 주민센터 방문 또는 문화누리카드 누리집/모바일앱/ARS
    • 사용처: 공연·영화·도서·전시·국내여행·체육 등 가맹점 결제(온라인/오프라인)

    : 전년도 이용 이력이 있고 자격 유지 시 자동재충전 대상일 수 있어요. 잔액은 연말 미사용 시 국고로 반환되므로 기간 내 사용하는 게 중요합니다.

    ③ 청년문화예술패스(국가) — 19세 전용 문화예산

    • 대상: 2025년 기준 만 19세 청년(2006년생)
    • 지원금: 국비 10만 원 + 지자체 추가 5만 원(지역 편성 시) = 최대 15만 원
    • 신청기간: 2025.07.07.~ 선착순 추가 발급(지자체 매칭 예산에 따라 변동)
    • 사용기한: 2025.12.31. 관람일 기준
    • 사용처: 협력 예매처(예: NOL 티켓/YES24 중 택1)에서 뮤지컬·콘서트·클래식·연극·전시 예매
    1. 협력 예매처(택1) 회원가입·본인인증
    2. 청년문화예술패스 누리집 회원가입 → 온라인 신청
    3. 자격 검증 후 포인트 발급 → 즉시 예매 사용

    ※ 1차에서 전액 미사용 회수자 등은 2차 발급 제한될 수 있습니다. 세부 조건은 공고 확인.

    ④ 지자체 청년 문화패스/문화복지카드 — 지역별로 이렇게 달라요

    지역 사업명 주요 대상 지원 규모(예) 특징
    서울 서울청년문화패스 예: 20~23세 등(연도별 공고 확인) 장르·공연 할인/포인트형 전용 포털 운영, 추천 공연 큐레이션
    부산 부산청년만원+문화패스 18~39세 일부 인원 최대 10만 원(1회 예매, 1만원 관람) 지역 우수 공연 1만원 관람 지원
    전남(여수·목포 등) 전남청년 문화복지카드 도내 거주 청년 연 최대 25만 원 수준 자기계발·문화활동 폭넓게 지원

    꼭 확인! 지자체 사업은 연령·거주 요건·금액·신청기간이 매년 다릅니다. 거주지 시·도 포털 공고를 먼저 확인하세요.

    ⑤ 자주 묻는 질문(FAQ)

    Q1. 19~34세면 전원이 국가 ‘청년문화패스’를 받을 수 있나요?
    아니요. 국가 ‘청년문화예술패스’는 해당 연도 19세 청년 전용입니다. 다만 지자체가 별도의 ‘청년 문화패스/카드’를 운영하면 그 연령대(예: 18~39세 등)에 따라 신청 가능합니다.
    Q2. 문화누리카드와 청년문화예술패스를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?
    자격이 되면 동시 보유는 가능하나, 각 사업 예산으로 정해진 사용처·기간 내에서만 쓰이며 동일 비용에 대한 중복 결제는 제한될 수 있습니다.
    Q3. 영화·체육도 청년문화예술패스로 결제되나요?
    청년문화예술패스는 공연·전시 중심입니다. 반면 문화누리카드는 영화·체육·국내여행 등 폭넓은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합니다.
    Q4. 잔액을 다음 해로 이월할 수 있나요?
    두 제도 모두 사용기한 내 미사용분은 소멸합니다. 연말 전에 반드시 사용하세요.

    ⑥ 체크리스트 & 신청 팁

    • 거주지 기준 지자체 공고를 먼저 확인(주민등록/외국인등록·거소신고 포함 여부 체크)
    • 발급·사용 기한을 캘린더에 저장(연말 소멸 주의)
    • 문화누리: 가맹점 찾기 기능 활용 → 근처 영화·체육·여행까지 폭넓게
    • 청년패스: 협력 예매처 회원·본인인증먼저 완료 후 신청하면 발급 오류를 줄일 수 있음
    • 지자체: 선착순/추가지급 공고를 수시 확인(뉴스레터·알림 신청 추천)

    ※ 본문은 2025년 기준 안내이며, 지자체 예산·공고에 따라 세부 내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    반응형